사기 수법 중에 보이스 피싱, 스미싱, 파밍이라는 단어들이 자주 등장하는데, 뜻을 정확하게 몰라 혼용되는 경우도 있고, 저 역시도 궁금하여 정확한 뜻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이 단어들 간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보이스 피싱
보이스 피싱은 영어로 Voice Phishing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피싱을 낚시를 한다는 뜻의 fishing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마도 미끼를 던져서 낚는다는 의미가 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겠죠. 피싱(Phishing)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해커들이 사용한 것으로부터 유래된 단어인데 속이기 위한 사기를 목적으로 보내는 악성 이메일에 어원이 있습니다. 여기서 보이스 피싱은 말 그대로 목소리를 이용한 피싱, 즉 전화 상대를 속여서 비밀번호를 알아낸다거나, 개인정보를 빼내고 금융상의 이득을 취하는 사기를 말합니다.
스미싱
스미싱은 영어로 SMS Phishing입니다. 보이스 피싱이 목소리를 이용한 피싱이라면 스미싱은 SMS, 즉 문자메시지를 통해서 스마트폰이나 휴대전화를 해킹하고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것을 말합니다. 스미싱을 통해 피해를 입었다면 우선 유포된 스마트폰이나 휴대전화의 해킹 파일이나 악성 코드를 반드시 삭제해야 되고 불가피하다면 기기를 초기화하여야 합니다.
파밍
파밍은 영어로 Pharming이라고 쓰는데, PC를 악성 코드나 해킹 파일로 감염시킨 다음에 가짜 웹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하여 금융 정보나 개인정보, 비밀번호 등을 빼내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 금융 관련된 사이트가 대부분이라고 하는데요, 이 경우에 정확한 주소를 입력하여 들어가더라도 가짜 사이트로 접속이 되도록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상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되도록 업데이트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은 가급적 다운로드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모두 은행이나 카드사 당의 금융 관련된 업체 또는 경찰이나 검찰 등의 정부 기관을 사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혹시 피해를 당하게 된다면 반드시 은행에 우선 연락하여 지급정지 신청을 한 다음에 경찰서에 방문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신고를 하면 사건사고사실확인원을 발급받을 수 있는데, 이를 신분증을 지참하고 피해구제신청서를 작성하여 피해구제신청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참고로 해킹이나 피싱 등 사이버 범죄로 인한 피해를 보장해 주는 보험도 있는데, 아래 내용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5.04.15 - [리빙, 금융] - 피싱, 해킹 피해 보상 보험 종류 (사이버범죄 피해 보장 보험)
피싱, 해킹 피해 보상 보험 종류 (사이버범죄 피해 보장 보험)
요즘 뉴스들을 보면 해킹이나 피싱, 랜섬웨어, 스미싱 등 사이버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피해 역시 끊이질 않죠. 스마트폰만 있어도 누구나 사이버 범죄의 표적이 되고 피해자가 될 수
interstory.tistory.com
'리빙,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입차 판매 순위 확인 방법 (0) | 2024.01.26 |
---|---|
이사갈 때 우편물 주소 변경 방법 (0) | 2024.01.26 |
문화누리카드 충전일 (0) | 2024.01.24 |
홈택스 납세증명서 발급 방법 (국세완납증명) (0) | 2024.01.24 |
홈택스에서 세금 체납 내역 확인하는 방법 (0) | 2024.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