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빙, 금융

임대차 계약 해지 통보 양식 (한글) 및 작성 방법

by Interesting Story 2025. 4. 15.

모든 일이 그렇지만 특히 법적 계약 관계의 경우에 마무리가 중요합니다. 임대차 계약을 종료하게 되거나 갱신을 거절해야 할 때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법적 효력을 가지는 해지 통보서를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보증의 반환 등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렇듯 임대차 계약 해지통보서는 많은 경우에 필요한 일인데요, 해지통보서를 작성 방법과 관련 내용을 정리하고 한글 파일로 된 양식을 공유합니다.

 

임대차 계약 해지통보서 양식 및 작성 방법
임대차 계약 해지통보서 양식 및 작성 방법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 작성 시 필수 항목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를 작성할 때는 아래의 내용들이 꼭 들어가야 합니다.

  • 계약당사자 정보 : 임대인과 임차인의 주소, 성명, 연락처 등
  • 임대차 목적물 정보 : 주소, 면적, 계약 기간 등
  • 해지 사유 및 해지 의사 표시 : 계약 만료, 갱신 거절, 임대 목적물 무단 전대 등
  • 해지 통보일 및 효력 발생일 : 통보일로부터 일정 기간 후 효력 발생
  • 보증금 반환 및 원상복구 관련 내용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 전달 방법

해지통보서는 내용증명 우편물을 통해서 전달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이렇게 해야 법적 증거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후 분쟁이 발생하게 되면 유리한 근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 양식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 양식을 아래 첨부 한글 파일로 공유합니다.

임대차 계약 해지통보서 양식 (내용증명).hwp
0.04MB

 

일반적으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보증금 반환을 받기 위해 많이 작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임대인이 임차인의 퇴거를 위해 작성하더라도 내용은 꼭 필요한 내용이 들어가게 해서 작성만 하면 됩니다.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 양식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 양식

 

임대차계약 해지통보서 관련 참고 사항

계약 만료 후 별도의 해지 통보 없이 거주를 계속하면 묵시적 갱신이라고 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연장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에 따라 임대인은 계약 종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임차인은 1개월 전까지 통보를 해야 합니다.


혹시 이 글을 보시는 분이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어서 고민인 상황이라면 아래 글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5.04.16 - [리빙, 금융] - 전세 보증금 못 받을 때 (전세사기 대응법까지)

 

전세 보증금 못 받을 때 (전세사기 대응법까지)

전월세 계약이 종료되었는데도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참 막막한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특히 얼마 전에 떠들썩했던 전세 사기 사건도 여럿 있었기에 이거 전세사기가 아닌지

interstor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