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빙, 금융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 대출 한도 조회 방법

by Interesting Story 2025. 4. 14.

청년 세대는 목돈을 모아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데, 전월세 보증금 마련이나 월세 납부로 인해 재정적 부담이 큰 경우가 많죠. 이러한 현실에 맞춰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이라는 정책 상품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출 상품의 기본 정보들은 많이 알려져 있고, 정보를 얻기 쉬우므로 한도 조회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한도 조회 방법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한도 조회 방법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대상 및 자격 요건

  • 연령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 또는 예비 세대주
  • 소득 요건 : 외벌이 또는 단독 세대주의 경우 연소득 3,500만원 이하, 부부 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
  • 자산 요건 : 합산 순 자산가액 3억 2,500만원 이하
  • 주택 요건 : 임차보증금 2억원 이하, 임차 전용면적 85m2 이하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 기타 요건 : 임대차 계약 체결 및 보증금의 5% 이상 지급 완료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한도 및 금리

  • 대출 한도 : 최대 1억원, 전세금의 100% 이내
  • 대출 금리 : 연 1.5% 고정금리
  • 한도 및 금리 관련 주의 사항 : 보증기관에 따라 대출 한도가 전세금의 80% 이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1년 미만 재직자의 경우에 이 역시 한도가 최대 2,000만원으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시에 연장 시점부터 일반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가 적용됩니다.

 

신청 절차 및 필요 서류

신청은 아래 링크의 기금 e 든든을 통해 온라인으로 하면 됩니다.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의 기금 수탁 은행을 방문하여 오프라인 신청 역시 가능합니다.

https://enhuf.molit.go.kr/index.jsp

 

https://enhuf.molit.go.kr:443/landing.html

 

enhuf.molit.go.kr:443

 

필요한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 소득금액증명원
  • 임대차 계약서 (확정일자 필수)
  • 재직회사 사업자등록증
  • 기타 은행에서 요구하는 서류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한도 조회 방법

아래 링크의 주택도시기금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https://nhuf.molit.go.kr/FP/FP05/FP0502/FP05020601.jsp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보이는 화면에서 주택전세자금 계산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주택전세자금 계산하기 클릭
주택전세자금 계산하기 클릭

 

그러면 주택전세자금계산마법사라는 항목으로 들어가게 되는데요, 여기서 대출신청 자격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한도가 얼마나 나올지 예상대출 금액 산출까지 가능합니다.

주택전세자금계산마법사
주택전세자금계산마법사

 

참고로 여기서 보이는 한도 조회 결과는 예측값이며, 실제 대출 심사와 결과가 다를 수가 있습니다.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에 해당이 된다면 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전월세 보증금을 저리로 대출 실행하여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아래의 HUG와 HF의 차이점을 함께 읽어보시면 대출 실행이나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4.03.07 - [리빙, 금융] - 버팀목대출 HUG와 HF 차이 정리

 

버팀목대출 HUG와 HF 차이 정리

청년 전용이나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진행할 때 보증의 종류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HUG이고, 하나는 HF입니다. 전세금안심대출보증과 전세자금보증이죠. 두 보증 종류를 간략하게 구

interstor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