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율과 도수율 계산 방법
강도율과 도수율 계산은 사실 공학이나 수학의 영역이 아닌 산수 수준으로 간단한데 간혹 헷갈리는 경우들을 더러 볼 수 있어서 간략하게 정리하여 공유해 봅니다. 근로시간 계산 방법 우선 강도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근로시간 계산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몇가지 조건을 정리하면, 1일 근로시간은 8시간, 1년 근로일수는 300일, 1인의 일평생 근로 연수는 40년, 일평생 잔업시간은 4,000시간, 근로손실 연수는 25년으로 잡습니다. 이제 계산하면 아래와 같이 되겠죠. 근로자 1인의 1년간 총 근로시간은 2,400시간이고, 평생 근로시간은 100,000시간, 그리고 사망 및 1, 2, 3급의 근로손실일수는 7,500일이 됩니다. 근로자 1인의 1년간 총 근로시간 : 8시간 x 300일 = 2,400시간 근로자 1..
2024. 3. 5.
어제 그제 엊그제, 내일 모레 글피 뜻
날짜를 나타내는 표현 중에 어제, 그제, 엊그제, 그리고 내일, 모레, 글피가 있는데, 간혹 혼동하여 사용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표현으로 의사소통에 혼선이 생기는 경우가 있죠. 어제, 그제, 엊그제와 내일, 모레, 글피에 대해서 정확하게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어제, 그제, 엊그제 의미 어제는 오늘의 바로 하루 전날을 말하고, 그제는 어제의 전날, 그리고 엊그제는 바로 며칠 전을 일컫는 표현으로 일반적으로 3일 정도 전을 말합니다. 여기서 어저께는 어제와 같은 뜻을 가진 다른 표기이고, 그저께 역시 그제와 같은 뜻을 가진 다른 표기이며, 엊그저께 역시 엊그제와 같은 뜻을 가진 다른 표기입니다. 그제와 엊그제가 그저께와 엊그저께의 준말이죠.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표현 의미 어제 오늘의 바로 ..
2024.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