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흥미

강도율과 도수율 계산 방법

by Interesting Story 2024. 3. 5.
반응형

강도율과 도수율 계산은 사실 공학이나 수학의 영역이 아닌 산수 수준으로 간단한데 간혹 헷갈리는 경우들을 더러 볼 수 있어서 간략하게 정리하여 공유해 봅니다.

 

강도율과 도수율 계산 방법
강도율과 도수율 계산 방법

 

근로시간 계산 방법

우선 강도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근로시간 계산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몇가지 조건을 정리하면, 1일 근로시간은 8시간, 1년 근로일수는 300일, 1인의 일평생 근로 연수는 40년, 일평생 잔업시간은 4,000시간, 근로손실 연수는 25년으로 잡습니다.

 

이제 계산하면 아래와 같이 되겠죠. 근로자 1인의 1년간 총 근로시간은 2,400시간이고, 평생 근로시간은 100,000시간, 그리고 사망 및 1, 2, 3급의 근로손실일수는 7,500일이 됩니다.

 

근로자 1인의 1년간 총 근로시간 : 8시간 x 300일 = 2,400시간

 

근로자 1인의 평생 근로시간 : 40년 x 2,400시간 + 4,000시간 = 100,000시간

 

사망 및 1, 2, 3급의 근로손실일수 : 25년 x 300일 = 7,500일

 

근로손실일수 : 휴업일수, 요양일수, 입원일수 x 300 / 365

(여기서 300 대신에 실제 근로 일수를 넣어주면 됩니다.)

 

참고로 장애등급에 따른 근로손실일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등급 손실일수
사망, 1 - 3 7500
4 5500
5 4000
6 3000
7 2200
8 1500
9 1000
10 600
11 400
12 200
13 100
14 50

 

 

강도율, 도수율, 연천인율 계산 방법

강도율(SR, Severity Rate of Injury)은 연근로시간 1,000시간에 대한 근로손실일수의 비율이므로 아래의 산식으로 계산합니다.

 

강도율(SR) = 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

 

환산강도율은 한 근로자의 평생근로시간(40년)에 대한 근로손실일수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환산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x 평생근로시간 = 강도율 x 100

 

여기서 평생근로시간은 100,000시간이므로 환산강도율은 강도율 x 100의 값을 가집니다.

 

도수율(FR, Frequency Rate of Injury)은 연근로시간 1백만시간에 대한 재해건수이 비율이므로 아래의 수식으로 계산이 됩니다.

 

도수율 = 재해발생건수 / (연근로시간수 / 10^(6)) = 연천인율 / 2.4

 

환산도수율은 한 근로자의 평생근로시(40년) 발생 가능한 재해 건수를 나타냅니다. 평생 근로시간이 100,000이라 가정하고 도수율에 0.10을 곱해주면 됩니다. 만약 평생 근로시간이 120,000이라면 0.12를 곱해주면 되고요.

 

환산도수율 = 도수율 x 0.10

 

연천인율은 연평균 근로자 1천명에 대한 재해자 수가 얼마나 되는지 비율을 나타내므로 아래의 산식으로 계산됩니다.

 

연천인율 = 연간 재해자수 / 연평균 근로자수 x 1,000 = 도수율 x 2.4

반응형

댓글